8. 삼국·남북국 시대의 문화
불교
불교의 전래: 한반도의 불교는 북방전래설을 근거로 고구려(소수림왕) → 백제(침류왕) → 신라(법흥왕) 순으로 전래
- 전진 → 고구려(전진의 순도와 아도) → 신라
- 동진 → 백제(인도의 마라난타) → 일본(백제의 노리사치계)
특징
- 왕실불교
- 업설(業設)의 유행: 현세의 모든 결과는 인과의 연쇄 관계에 놓이는 것으로 귀족의 통치논리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
호국불교 e.g. 황룡사 9층 목탑, 세속오계(원광), 백제의 미륵사, 통일신라 문무왕릉(화장), 감은사
신라 중대의 불교
- 원효: 정토종(아미타 신앙), 원융회통, 일심, 『십문화쟁론』
· 원융회통: 서로 다른 쟁론을 하나로 화합하여 소통할 수 있는 윤리가 있음, 화합을 위해 화쟁(和爭)을 해야함을 강조
· 십문화쟁론: 불교이론을 10문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불교서적
- 의상: 화엄종(관세음 신앙) → 이후 교종으로 발달, 일즉다다즉일, 부석사
- 혜초: 『왕오천축국전』(지리지) 저술 → 8세기 중앙아시아 생활사 기록 多
신라 하대의 불교
- 선종의 유행: 참선, 승탑, 9산 선문 cf. 선종의 유입 자체는 신라 중대
- 특히 풍수지리(도선)와 선종은 호족들의 집권에 사상적 기반을 제공함
- 심상: 『화엄기신관행법문』 저술 → 화엄종 전파
도교
① 고구려 사신도
② 백제 산수문전
③ 신라 화랑도
유교
고구려 | 백제 | 발해 | |
교육기관 | 태학 경당 |
오경박사 역박사 |
주자감 |
신라: 임신서기석 / 통일신라: 국학(신문왕) | |||
역사서 | 『유기』 『신집』 (이문진) |
『서기』 (고흥) |
X |
신라: 『국사』(거칠부) |
신라 중대의 유교
- 설총: 이두정리, 화왕계(신문왕에게 진상)
- 강수: 외교문서
- 김대문: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
- 국학설립(신문왕)
신라 하대의 유교
- 독서삼품과(원성왕): 국학에서 시행한 공무원 시험으로 공무원 선발시험보다는 자격시험에 가까움
- 최치원
· 857년(문성왕 19년) 최견일의 아들로 태어나 당나라 유학, 빈공과(외국인 전형시험) 급제
· 『계원필경』: 최치원의 한시 문집으로 가장 오래된 개인 문집, 토황소격문 수록
· 시무책 10조 → 진성여왕에게 내용을 전달하였으나 실천 X
과학
- 고구려: 천문도 제작 → 이후 조선의 천상열차분야지도 제작(태조)에 영향
- 백제
· 칠지도
· 금동대향로: 6-7세기 초 제작 추정, 1993년 충남 부여군에서 발견, 불교(연꽃) + 도교(봉황, 신선) 요소가 모두 포함, 대장간 터에서 발견
- 신라
· 금관
· 선덕여왕 시기 유물
① 분황사, 영묘사 등 사찰 건립
② 황룡사 9층 목탑(황룡사는 진흥왕 14년에 창건) → 신라 자장법사의 공헌
- 통일신라
· 상원사 종(성덕왕)
· 성덕대왕 신종(경덕왕 ~ 혜공왕): 에밀레 종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석가탑에 안치되었던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물
건축
고구려
건축: 안학궁
불상: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미륵보살반가사유상 → 일본 고류사 미륵보살반가사유상에 영향
탑: 목탑
백제
건축: 익산 미륵사(무왕)
불상: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
탑: 미륵사지 석탑(사리함), 정림사지 5층 석탑(부여)
신라
건축: 황룡사(진흥왕)
불상: 배동석조여래삼존입상
탑: 황룡사 9층 목탑(선덕여왕), 분황사탑(선덕여왕)
통일신라
건축: 불국사(경덕왕), 석굴암(경덕왕 시기 김대성이 20년간 제작) → 세계 유일의 인조 화강암 석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
동궁과 월지
탑: (초기) 감은사지 3층석탑 → (중기) 불국사 3층 석탑+다보탑 → (후기) 진전사지 3층석탑(균형미 감소, 탑신에 불상조각) → (말기) 승탑유행
일본과의 교류
고구려
① 담징(종이, 먹, 얀자방아 등 전래)
한때 담징이 호류지 금당벽화를 그렸다고 알려졌으나 논란이 있음
② 혜자: 고구려의 승려로 담징과 같이 일본서기 기록에만 등장, 쇼토쿠 태자의 스승으로 20년 간 불교교리를 가르침
③ 다카마스 고분벽화: 수산리 고분벽화를 모델로 제작
백제
- 아직기: 한자
- 왕인: 논어와 천자문 전래
- 노리사치계: 불교
- 호류지 백제 관음상
- 백제 가람양식 유행
신라
조선술과 축제술(연못조성)
고류지 미륵보살반가사유상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고류지 목조반가사유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