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와 좌표계 | Vectors and Coordinate Systems
벡터 대수
Vector Algebra
스칼라(scalar): 크기로 규정되는 양으로 전자기학에서 스칼라량은 대표적으로 전하와 전압이 있다.
벡터(vector): 크기와 함께 방향 또한 함께 고려해야 하는 양으로 전자기학에서 벡터량은 대표적으로 전기장, 자기장이 있다.
- 벡터는 기하학적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선분인 화살표[그림 1]로 나타난다.
![](https://blog.kakaocdn.net/dn/nxGuG/btszwg2UIV8/Qd9QH4l4Aj16D3BTsjxafK/img.png)
그림 1. 벡터 A
- 벡터의 방향은 화살표의 머리이다. 한편 크기는 화살표의 길이와 같다.
- 벡터의 위치만 옮기는 평행이동의 경우, 벡터량은 달라지지 않는다.
[그림 2]에서 벡터 A의 성분(components) 및 벡터 A는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https://blog.kakaocdn.net/dn/vCTmb/btszzCRnliH/KXywMB2kTzKwE5nJmSubS1/img.png)
그림 2. 데카르트 좌표계에서의 벡터 A의 표현 [출처: Univer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Bauer & Westfall, 2nd ed., 2014, p.24]
벡터 덧셈
두 벡터의 덧셈 A+B는 기하학적으로 A의 머리에 B의 꼬리를 붙이는 방식[그림 2]으로 구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gdiE4/btszzVwpaNF/t9WXDQafn64ZGmCo9rbRg0/img.png)
그림 2. 삼각형법
혹은 [그림 3]과 같이 평행사변형법을 사용해도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zYDm2/btszzTSTk0E/FgfWP6KgsFd1bNR5SpNQFk/img.png)
그림 3. 평행사변형법
두 가지의 두 벡터의 덧셈법은 그 결과가 서로 일치한다.
- 벡터의 덧셈은 교환법칙(commutative)과 결합법칙(associative)이 성립한다.
스칼라 곱셈
- 어떤 벡터에 스칼라량 a를 곱하면 그 벡터의 크기는 a배가 된다.
- a>0인 실수이면, 그 벡터의 방향은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a<0)인 경우, 그 벡터의 방향은 바뀐다.
- 스칼라 곱셈(multiplication of a vector by a scalar, scalar multiplication)은 분배법칙(distributive)이 성립한다.
4. 어떤 벡터를 스칼라 나눗셈 함은 그 벡터에 스칼라량 a의 역수 1/a를 곱하는 것과 같다.
특히 4번의 성질을 이용하여, 벡터 A를 자신의 크기 A로 나누면 길이가 1이면서 방향은 A와 같은 벡터가 결과 값으로 나타나는 데, 이를 단위 벡터(unit vector)라 정의한다.
![](https://blog.kakaocdn.net/dn/rszLV/btszyRnIFDQ/GOCNYPKjaYza0LL9lewqe0/img.png)
그림 4. 2차원, 3차원 상의 단위벡터 [출처: Univer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Bauer & Westfall, 2nd ed., 2014, p.27]
단위 벡터 | Unit Vector
■
- 단위벡터의 크기는 1이다.
- 단위벡터의 방향은 그 벡터 A의 방향과 같다.
스칼라곱과 벡터곱
Scalar Product and Vector Product
벡터를 곱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스칼라곱(scalar product): 점곱(dot product), 벡터 A에 대한 벡터 B의 사영[그림 4]을 곱한 값으로 결과는 스칼라량이다.
![](https://blog.kakaocdn.net/dn/tTeAW/btszvIefnD2/aEoRemScndeRJMqKxYL07k/img.png)
그림 4. 벡터 A에 대한 벡터 B의 사영(Acosθ)
점곱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Scalar Product(Dot Product)
■
![](https://blog.kakaocdn.net/dn/cP5DI8/btszvGAIo8H/xz62IPMXFTuLYCeBjGQR9k/img.png)
그림 5. Dot Product
기하학적으로 점곱 AB[그림 5]는 벡터 A의 크기에 벡터 B의 벡터 A 방향성분 Bcosθ을 곱한 것과 같다.
- θ이 0도에서 90도 사이인 경우 cosθ는 양수이고, 따라서 점곱은 양의 값을 갖는다.
- θ이 90도에서 180도 사이인 경우 cosθ는 음수이고, 따라서 점곱은 음의 값을 갖는다.
- θ이 90인 경우 cos90=0이므로, 점곱은 0이 된다. ⇒ 수직인 두 벡터의 dot product는 언제나 0이다.
점곱의 성질
- 점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한다.
- 점곱은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단위벡터의 점곱
![](https://blog.kakaocdn.net/dn/XpW2q/btszzGTOKAY/kJV6uwwFV8yJGvHsKnuX6K/img.png)
그림 6. 3차원 상의 단위벡터
3차원 상에서 단위벡터는 [그림 6]과 같이 나타나며 이들을 서로 스칼라곱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단위벡터의 스칼라곱에서 윗 내용은 사잇각 θ이 0인 것으로 서로 평행하는 경우 scalar product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 단위벡터의 크기는 1이므로 1을 제곱해도 역시 1이 나오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성립된다.
- 단위벡터의 스칼라곱에서 아래 내용은 사잇각 θ이 90인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2. 벡터곱(vector product): 가위곱(cross product), 벡터 A, B를 가위곱하면 그 결과 값은 벡터량[그림 7]이다.
![](https://blog.kakaocdn.net/dn/EiyBo/btszw6MJqb8/XNe96eYjKHWJ2uvLy3d8xK/img.png)
그림 7. 벡터곱 [출처: Wikimedia]
Vector Product(Cross Product)
■
![](https://blog.kakaocdn.net/dn/IHTdn/btszw6eU3nu/9ks33msSxaGL0bGKFphDIK/img.png)
그림 8. 두 벡터의 가위곱
vector product 식의 물리량은 [그림 8]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벡터 A, B의 cross product 크기는 ABsinθ_AB이다. 즉, 벡터 A와 B가 만드는 평행사변형의 면적과 정확히 일치한다.
- 단위벡터 a_n은 가위곱의 방향으로 평행사변형이 놓인 평면에 수직한다. a_n의 방향은 [그림 9]와 같이 오른손 규칙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gzcy8/btszwisRWKC/dSSEJr2IH8677CUiZEjfj0/img.png)
그림 9. 가위곱의 방향
가위곱의 성질
- 가위곱은 분배법칙이 성립한다.
- 가위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대신 역교환법칙을 따른다.
3. 가위곱을 하는 두 벡터 A, B의 사잇각이 90도일 때, sin90=1이므로 최대 크기 AB를 갖는다. 반면 두 벡터 A, B의 사잇각이 0도일 때, sin0=0이므로 벡터곱의 크기 또한 0이 된다.
단위벡터의 가위곱
단위벡터의 가위곱은 가위곱의 성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삼중곱 Triple Product
삼중곱은 두 벡터의 곱과 마찬가지로 그 결과에 따라 2가지 곱이 존재한다.
- 스칼라삼중곱
- 벡터삼중곱
스칼라삼중곱
![](https://blog.kakaocdn.net/dn/blF6xW/btszA0jVq0c/Je9usEGeNYa8ICtUJVlLRK/img.png)
그림 10. 삼중곱
스칼라삼중곱[그림 10]의 결과는 스칼라량으로, 세 벡터가 만드는 평행육면체의 부피와 그 값이 같다.
- 단위벡터 a_n은 벡터 B와 C의 가위곱 방향과 같다. 또한, Base_CB는 벡터 B, C의 가위곱 면적이다.
- 만약 벡터 A와 단위벡터 a_n의 사잇각이 90도 미만이면 [그림 10]의 h_a 값은 양수이다. 반면 90도를 초과한다면 h_a 값은 음수이다.
- 벡터 A와 단위벡터 a_n의 스칼라곱의 결과는 평행육면체의 높이 값과 같다. 그리고 이 평행육면체의 부피가 스칼라삼중곱이다.
스칼라삼중곱
■
- 스칼라삼중곱의 점곱, 가위곱 순서를 바꾸어도 결과는 동일하다.
벡터삼중곱
벡터삼중곱은 간단하게 결과 값만 확인하자.
벡터삼중곱
■
단위벡터와 벡터 성분
Unit Vectors and Components
![](https://blog.kakaocdn.net/dn/bj6lNy/btszwf30hRe/3PwhudKhGrLRY1DWkLo3i1/img.png)
그림 1. 단위벡터와 성분
좌표계를 도입하면 벡터를 성분(components)으로 나타낼 수 있고, [그림 1]은 직각 좌표계(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Cartesian coordinate system)를 사용하여 나타낸 벡터 그림이다.
- [그림 1]의 (a)는 unit vector들로 직각 좌표계의 x, y, z축과 그 방향성이 정확히 일치한다.
- [그림 1]의 (b)는 임의의 벡터 A로 x, y, z축에 각각 투영시킨 정사영벡터(projections)가 함께 그려져 있다. ⇒ 벡터 덧셈에 따라 벡터 A는 projection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성분벡터 Vs. 성분
3차원 직각 좌표계에서 벡터 A의 성분벡터와 성분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파란색은 (벡터 A의) 성분벡터이고, 초록색은 (벡터 A의) 성분이라 한다.
세 가지 좌표계
Three Geometry Coordinate System
전자기학에서 다루는 문제는 3차원의 세상이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좌표계는 크게 3가지이다.
- 직각좌표계(rectangular coordinate system)
- 원통좌표계(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 구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
직각좌표계
![](https://blog.kakaocdn.net/dn/cnjGmQ/btszwc7wsfK/eJvj3bfpdfOE1gEUhAQU21/img.png)
그림 2. 직각좌표계
직각좌표계[그림 2]는 오른손 법칙[그림 3]으로 설정된 좌표축의 시스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oeK0a/btszzEIrGGi/h5R3uqUxGZkoMUHpcx9zkk/img.png)
그림 3. 오른손 법칙
- 각각의 축은 x, y, z로 명명되며, 이들의 단위벡터는 i, j, k 또는 hat x, hat y, hat z로 표현한다.
- 원점으로부터 각 축을 향해 뻗어나가는 정도를 x, y, z라고 하면, 점 P는 P(x, y, z)[그림 2]로 표현된다.
원통좌표계
![](https://blog.kakaocdn.net/dn/br9xWe/btszxt8LVE0/LmfOnKbqueOkopeAX9tc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WRLW6/btszvGgtGVj/pFzInubmWNjo1uLv8txKi1/img.png)
그림 4. 원통좌표계
- 원통좌표계는 직각좌표계의 x, y, z처럼 세 가지의 특수한 좌표값을 갖는다.
- ρ: (점 P가) z축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그림 4]
- φ: 방위각(azimuth angle), +x축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의 각도
- z: xy평면으로부터 높이
- 각각의 좌표는 아래와 같은 특수한 조건값을 만족해야 한다.
원통좌표계의 각각의 좌표에 대한 단위벡터는 다음과 같다.[그림 5]
![](https://blog.kakaocdn.net/dn/ATvt1/btszyOY5LZC/ZoY1RKnVof1Q0VhmAtxmak/img.png)
그림 5. 원통좌표계 단위벡터의 설명 [출처: Able 전자기학]
원통좌표계의 단위벡터는 방사(ρ), 회전(φ), 그리고 증가(z)의 형태를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m1Aay/btszvEwsYS7/8yAeFEAsLMP17iF9qH2mOk/img.png)
그림 6
- 원통좌표계의 각 단위벡터는 [그림 6]과 같이 서로 수직한다. 특히 단위벡터 ρ와 φ는 φ좌표의 함수이다.
- 원통좌표계의 기본단위벡터를 활용하여, 각 성분의 크기를 가진 벡터를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직각좌표계와 원통좌표계의 변환
![](https://blog.kakaocdn.net/dn/bIcqll/btszzKaO0O7/X8KoVkObG7zX1P2ICpx4ZK/img.png)
그림 7. 직각좌표계와 원통좌표계
3차원의 좌표 시스템에 놓인 점 P는 직각 좌표계와 원통 좌표계 모두의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변환되어 계산될 수 있다.[그림 7]
- 원통 → 직각: 원통좌표를 이용하여 직각좌표를 구하는 식
- 직각 → 원통: 직각좌표를 이용하여 원통좌표를 구하는 식
구좌표계
![](https://blog.kakaocdn.net/dn/nI6OO/btszA1QGTK2/bGzN1i6jXIXuLKliBPa4E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KfjSf/btszvGgtGUZ/dHTLUi65lv5EdsTKmFewUk/img.png)
그림 8. 구좌표계
- 구 좌표계[그림 8] 역시 특수한 세 가지 좌표를 갖는다.
- r: 원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 θ: 편각(polar angle), +z축으로부터의 각도(z축과 선 OP가 이루는 각도[그림 8])
- φ: +x축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의 각도
- 각각의 좌표는 아래와 같은 특수한 조건값을 만족해야 한다.
구좌표계의 기본단위벡터는 [그림 9]와 같은 형태를 갖는다.
![](https://blog.kakaocdn.net/dn/b055OI/btszzJC0ilC/FA1HfomFPkIivV5kSWUBzk/img.png)
그림 9. 구좌표계의 단위벡터
![](https://blog.kakaocdn.net/dn/I6B07/btszxu7DERi/9QYfzWq2yYnWk3ozKAnMO0/img.png)
- 구좌표계의 기본단위벡터를 활용하여, 각 성분의 크기를 가진 벡터를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직각좌표계와 구좌표계의 변환
![](https://blog.kakaocdn.net/dn/Ts9Rd/btszviGSNxl/60DRSmnEs635lvy2GnHkwk/img.png)
그림 10
직각좌표계를 구좌표계 또는 반대의 좌표 내용으로 변환[그림 10]할 수 있다.
- 구좌표 → 직각좌표: 구좌표를 활용하여 직각좌표를 구하는 식
- 직각좌표 → 구좌표: 직각좌표를 이용하여 구좌표를 구하는 식
원통좌표-구좌표의 직접적인 변환은 그 공식이 비직관적이기 때문에, 대부분 처음 제시된 좌표계의 좌표를 직각좌표로 변환한 뒤 이 변환된 직각좌표를 원통좌표 또는 구좌표로 변환한다.
좌표의 변환
Equations of Transformation Between Coordinate Systems
좌표의 변환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원통좌표를 이용하여 직각좌표를 구함 식
2. 직각좌표를 이용하여 원통좌표를 구함 식
- 원통좌표와 직각좌표의 z값은 서로 같다.
- 원통좌표의 ρ는 점 P의 xy평면(2차원) 위의 투영과 원점 사이의 거리이고, 방위각 φ 또한 xy평면(2차원) 상의 각이므로, 둘은 '2차원 상의' 직각좌표와 평면 극좌표(polar coordinate) 간의 관계식과 매우 유사하다.
3. 구좌표를 활용하여 직각좌표를 구함 식
4. 직각좌표를 이용하여 구좌표를 구함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