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54RXZ/btsKPRjX5TW/GvIjYfCcfXoXDzifyVZCE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MvJsX/btsKQO7UtJ1/78gpkJ8Ko1IydKYTKmDQY1/img.png)
적분법에 들어가기에 앞서 먼저 미적분학의 미분법에 대해 간단히 복습하자.
![](https://blog.kakaocdn.net/dn/bGmnov/btsKPC1E3jh/nZgDPi3awf0jFLkn58SSmk/img.png)
미분법과 마찬가지로 적분에서도 합성함수를 적분하는 여러 가지 전략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JQl30/btsKPy6q3py/egXXdEAZ4CrXG9PqkKair0/img.png)
곱법칙(몫법칙을 포함해), 그리고 연쇄법칙과 대응되는(corresponds to) 적분법들도 존재하는데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다.
1. 부분적분(integration by parts): 곱법칙에 대응한다.
2. 치환적분(integration by substitution): 연쇄법칙에 대응한다.
치환적분
치환적분은 연쇄법칙과 유사한 방법의 적분법으로 연쇄법칙에서의 내부함수의 치환 요령을 따른다.
[1] 내부함수를 u로 치환한다.
[2] du/dx=g'(x)를 구한다.
[3] 적분식에서 dx를 다음과 같이 바꿔 쓸 수 있다. ⇒ dx=du/g'(x)
[4] u를 포함한 내부함수를 적분하고, 구한 최종 값의 u는 다시 원래의 값(치환 이전의 값)으로 환원한다.
EXAMPLE. 부정적분의 치환적분
![](https://blog.kakaocdn.net/dn/S2IL0/btsKRmwmxPG/OTBgu19R1fHF58ZvBjg370/img.png)
□
치환적분의 의의: 치환적분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보이는 적분을 좀 더 간단한 형태의 적분으로 바꾸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원래의 변수를 새로운 변수 u로 치환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치환법칙의 핵심은 적당한 치환 함수를 선택하는 것이다.
- 만약 치환 함수의 전개가 어려울 경우, 다른 함수를 치환하여 재시도한다.
- 치환한 변수(문자) u로 피적분 함수를 모두 표현할 수 있다. (단, 피적분 함수 내의 상수나 숫자는 치환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부정적분 치환적분
만약 u=g(x)가 구간 I를 치역으로 갖는 미분가능함수이고, f가 I위에서 연속이면 다음과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lLorf/btsKQfEYMN9/O6pCkBAKdEgFsD1GPBfP10/img.png)
■
이제 정적분의 치환적분을 알아보자.
정적분 치환적분
만약 g'이 [a, b]에서 연속하고, f가 u=g(x)의 치역에 연속한다면,
![](https://blog.kakaocdn.net/dn/bvXRb5/btsKQ9Ygamj/8hZw4NwAV6tLAj8GF5njU1/img.png)
■
- 문제에서 주어지는 상한과 하한 값은 x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피적분함수를 u로 치환할 때, x에 대한 상한과 하한 값 역시 수정해야 한다.
EXAMPLE. 정적분 치환적분
![](https://blog.kakaocdn.net/dn/cNy3K9/btsKQdNY2UD/a2k80Qva7ZCpvRzrNCEuG1/img.png)
□
※ Substitution for Integrals: corresponding to the chain rule for derivatives
[1] Suppose that F(u) is an antiderivative of f(u):
∫f(u)du = F(u)+C
[2] Assume that u=u(x) is a differentiable function and using the chain rule:
![](https://blog.kakaocdn.net/dn/Fzd5Q/btsKQee5MEC/UUtDFi6zBAYiKapeZxVxv1/img.png)
[3] Integrating both sides gives:
∫f(u(x))u'(x)dx = F(u(x))+C
[4] Hence,
![](https://blog.kakaocdn.net/dn/bACFYv/btsKQPZZ376/E3tGKWy2840qdAq1wIRmrk/img.png)
This is the substitution rule formula for indefinite integrals.
- The integral on the left side is in terms of the variable x
- The integral on the right side is in terms of the variable u
'미분적분학 > 적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적분학 2】 Chapter 8. 삼각함수적분 (0) | 2024.11.22 |
---|---|
【미분적분학 2】 Chapter 7. 부분적분 (0) | 2024.11.21 |
【미분적분학 2】 Chapter 5. 부정적분 (0) | 2024.11.18 |
【미분적분학 2】 Chapter 4.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0) | 2024.11.17 |
【미분적분학 2】 Chapter 3. 정적분: 정의와 의미 (0)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