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물리학/열역학

[물리학-열역학] 03. 열팽창 | Thermal Expansion

herald-lab 2023. 10. 4. 10:38
728x90
반응형

 

선팽창

Linear Expansion

 

선팽창(linear expansion): 섭씨 100도씨 변화 내에서, 온도 변화가 그리 크지 않으면 ‘증가한 길이’는 늘어난 온도에 비례한다.

 

  • 물리량
  1. ΔT: 온도 변화량 ⇒ 섭씨 온도와 켈빈 온도의 온도차 간격은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어느 것을 써도 상관없다.
  2. L_0: 물체의 초기 길이(original length)

선팽창

 

  • 물리량
  1. ΔL: 늘어난 길이
  2. L_0: 초기 길이
  3. α: 선팽창계수(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 물질의 열팽창에 대한 성질(a material property that varies slightly with temperature)을 기술하는 계수로 물질마다 그 값이 다르다[표 1]. 선팽창계수의 단위는 [K^-1](역 켈빈온도)이다.
  4. ΔT: 온도 변화량

 

표 1. 물질 별 선팽창계수 [출처: Principles of Physics, Serway & Jewett, 12th ed., 2012, p.522]

 

열을 받으면 고체 사이의 진동 진폭이 커지고 진폭이 커질 때 분자 간의 평균거리가 증가한다. 원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모든' 방향의 길이가 증가한다[그림 1].

 
그림 1. 열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난 물체 [출처: University Physics Volume 2, OpenStax, 2016, p.26]

 

선팽창에 의한 물체의 최종 길이

  • 선팽창 식의 ΔL은 (물체의 최종 길이)-(초기 길이)와 같으므로, 이를 물체의 최종길이에 대해 유도하면 위의 식이 쉽게 나온다.

부피팽창

Volume Expansion

 

부피팽창(volume expansion): 섭씨 100도씨 변화 내에서, 온도 변화가 그리 크지 않으면 ‘증가한 부피’는 늘어난 온도에 비례한다.

부피팽창

V_0는 물체의 초기 부피를 뜻한다.

선팽창계수와 같이 부피 역시 부피팽창계수 β를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를 응용하여 부피팽창 식을 다음과 같이 유추할 수 있다.

부피팽창

  • 물리량
  1. ΔV: 늘어난 부피
  2. V_0: 초기 부피
  3. β: 부피팽창계수(coefficient of volume expansion) ⇒ 물질의 부피 팽창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계수로 물질마다 다르다. 부피팽창계수의 단위는 α와 마찬가지로 [역켈빈온도]이다.
  4. ΔT: 온도 변화량
  • 많은 물질에서 부피팽창계수는 낮은 온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 액체의 부피팽창계수 값이 일반적으로 고체의 부피팽창계수 값보다 크다.[표 2] 단, 물은 독특하게 0도씨부터 4도씨까지 물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부피가 줄어드는 효과를 보인다. ⇒ 물은 섭씨 4도씨에서 최대 밀도를 갖는다. [그림 3]
 
표 2. 물질의 열팽창 계수: 선팽창계수와 부피팽창계수 [출처: University Physics Volume 2, OpenStax, 2016, p.22]

 

부피팽창계수와 길이팽창계수의 관계

두 계수의 관계는 (1)미소변화량의 제곱 값에 대한 무시와 (2)선팽창 부피팽창 식의 조합으로 유도할 수 있다.

팽창의 결과

열에 의한 차원의 팽창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열에너지는 물체의 모든 차원에 팽창을 유도[그림 2]할 수 있다.

평균 선팽창계수 Average Coefficient of Linear Expansion

 

그림 2. 물체에 가해진 열은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의 '모든 방향'에 진동운동 및 분해를 일으킨다. [출처: Sears & Zemansky's University Physics with Modern Physics, Young & Freedman, 14th ed., 2016, p.575]

 

 

그림 3.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4도씨에서 물은 최대밀도를 가진다. [출처: University Physics Volume 2, OpenStax, 2016, p.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