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구려는 삼국 중 가장 빨리 불교를 수용하였고, 중국 북조의 영향을 받은 불상을 많이 조성했다. 고구려 불상은 (1)긴 얼굴에 날씬한 몸매, (2)두꺼운 법의, 날카로운 옷자락을 특징으로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다.
- 넓은 목걸이와 두터운 천의는 중국 북조 중 북위의 6세기 초 불상과 유사
- 옷주름의 표현은 날카롭고 강렬하나 기법 자체는 투박한 편
- 대표: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금동미륵반가사유상(국보 제119호)
뚝섬 출토 금동불좌상
- 시대: 삼국시대(고구려 추정)
- 발견 위치: 서울 한강 뚝섬
- 크기: 높이 5cm
- 특징
- 한반도 초기 불상의 범본(範本)으로 추정
- 묘사: 어깨를 조금 구부리고 턱을 앞으로 당겨 고개를 숙인 모습, 결가부좌를 하고 선정인(두 손을 가지런히 배 앞에 놓은 손 모양)을 취함으로써, 명상에 잠겨 참선을 하는 모습을 표현함. 명상 중의 고졸한 미소(기교는 부족하나 소박한 멋이 있는 미소)가 특징
- 선정인의 여래좌상이 고구려를 중심으로 조성되었다는 점에서 고구려 제작 가능성이 큼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국보 제118호)
Gilt-bronze Pensive Maitreya Bodhisattva)
- 시대: 삼국시대(고구려 추정)
- 발견 위치: 평안남도 평양시 평천리(1944), 녹이 많이 슬었고 흙, 불 등에 의한 훼손이 심한 편
- 크기: 높이 17.5cm
- 특징: 산 모양의 삼산관(三山冠)을 쓰고 있으며, 고개를 약간 숙인 채 생각에 잠긴 모습임, 상체에는 옷을 입지 않아 허리가 그대로 드러나며 하체에만 치마를 걸치고 있음, 치마의 주름은 하단부로 갈수록 여러 겹의 수직 주름을 형성
- 중국 동위 또는 북제 초기의 반가사유상 양식을 많이 보여줌
- 현재는 리움미술관에 보관 중
금동 연가7년명 여래입상 (국보 제119호)
Gilt-bronze Standing Buddha with Inscription of "the Seventh Yeon-ga Year"
- 시대: 고구려 안원왕 시대(재위 533-539), 연가 7년(539)
- 발견 위치: 경남 의령군
- 크기: 높이 16.2cm (불상 높이 9.1cm)
- 특징
- 국보 제119호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중
- 광배 뒷면에 여래입상의 제작 의도 및 순서(제29불 인현의불은 비구 법영이 공양하는 바이다.)가 기재
- 불상 얼굴의 세부적인 묘사는 생략된 편이나, 긴 얼굴에 입과 코가 작으며 미소가 나타난 것이 특징
- 손, 발, 얼굴 등이 다른 신체에 비해 크며, 두터운 옷에 신체 굴곡은 거의 드러나지 않지만 어깨의 골격 등에서 강인한 힘을 느끼게 함
- 광배 부분의 손상은 1967년 도난사건으로 인해 발생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Gilt-bronze Standing Buddha Triad with Inscription of "Sin-myo Year"
- 발견 위치: 황해도 곡산군 봉산리(1930), 현재는 리움미술관에 보관 중
- 크기: 높이 15.5cm
- 특징
- 광배에 본존불(중앙)과 좌우 보살상이 모두 조각됨 ⇒ 삼존불 불상
- 좌우 보살들의 크기를 매우 줄임으로써 본존불의 존재를 더욱 돋보이게 함
- 본존불은 풍만한 얼굴에 입가에 미소를 띠고 있으며, 옷은 마찬가지로 두껍게 표현되어 있다. 옷자락은 옆으로 펼쳐지면서 발목까지 덮고 있다.
- 양쪽 보살은 비교적 큼직한 얼굴에 비해 원통형의 빈약한 체구를 지니고 있으며, 본존불보다 묘사가 훨씬 투박하다.
728x90
반응형
'미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미술사】 사유의 방의 반가사유상 (1) | 2024.10.26 |
---|---|
【한국미술사】 고대사회 - 백제의 불상 (1) | 2024.10.23 |
【한국미술사】 고대사회 - 불교의 전래와 불교미술의 시작 (1) | 2024.10.20 |
【한국미술사】 선사시대 - 토기(도기, 도자) (2) | 2024.10.19 |
【한국미술사】 선사시대 - 암각화 (2) | 202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