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세포(뉴런, neuron): 신경계를 구성하는 세포
- neuron은 소듐(나트륨, sodium) 통로와 포타슘(칼륨, potassium) 통로 등의 이온 통로를 발현하여 다른 세포와 전기적으로 소통한다. ⇒ 이온통로는 세포막에 존재하며, 이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전기화학적 임펄스(impulse)를 야기한다.
근육세포(근세포, myoctye): 근육 조직을 구성하는 섬유상 세포
- 근육조직(muscular tissue): 골격근(skeletal muscle), 민무늬근(내장근, smooth muscle), 심장근(cardiac muscle)을 총칭하는 네 가지 조직 중 하나
- 근세포는 muscle tissue와 마찬가지로 골격근 섬유, 민무늬근 섬유, 심장근육 섬유로 나뉜다.
신경 및 근육세포의 공통 특성
![](https://blog.kakaocdn.net/dn/l5b88/btrlOWI3j4c/6nyTcvPPZbbtx7VVHolli1/img.png)
신경세포와 근육세포 모두 다른 세포와 전기적 소통을 하는 것이 큰 공통점으로, 이 impulse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각각의 세포는 한 방향으로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 신경세포의 단일 방향성은 수상돌기(dendrite)와 축삭말단의 구조 때문이다.
- 수상돌기(가지돌기): 다른 뉴런으로부터 보내는 전기화학적 신호를 받아들여 신경세포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 시냅스(synapse):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지점(접합점)으로 신호전달 방식에 따라 (1)화학적 시냅스와 (2)전기적 시냅스로 구분된다.
② 특정 수준을 초과하는 입력 신호(input)를 받을 때, 그 신경은 흥분하고 일정한 크기와 지속시간을 갖는 impulse가 축삭(axon)을 따라 진행한다.
- impulse는 활동 전위(action potential, AP)라고도 불린다.
- synapse의 성질에 따라 신호는 증폭 또는 억제된다. ⇒ synapse의 종류에 따라 신경세포는 증폭형 입력, 억제형 입력, 또는 혼합 입력이 발생한다.
![](https://blog.kakaocdn.net/dn/2lr2T/btrlFbBevgu/Nw77yuG777UuCEy3fSj2ok/img.png)
③ 전기적 AP의 발생에서 axon은 모양 변화 없이 자극을 전달한다.
축삭 Axon
두 세포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axon은 전기 케이블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다.
① axon이 지름은 인간을 기준으로 1-20μm이다.
② impulse의 전달속도는 축삭의 지름에 의존한다. 속도는 약 0.6-100[ms^-1]이다.
③ 축삭은 마이엘린 지질층(Myelin sheath)의 존재 유무에 따라, (1)무수 신경 또는 (2)유수 신경으로 분류된다.
![](https://blog.kakaocdn.net/dn/cwTNpe/btrlLwYrs9m/ql6eJHWG5Hkk8DprHKBWz1/img.png)
- Myelin은 전기 케이블의 절연 테이프와 갖는 역할로 전기적 신호의 누수를 방지한다. ⇒ Myelin의 존재로, 유수 신경이 축삭의 지름에 대해 훨씬 빠른 임펄스 속도를 제공한다.
- 유수 신경은 Myelin이 일정한 간격으로 단절 연결된 특징을 갖는다. 반면, 무수 신경은 Myelin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 인체를 기준으로 무수 신경이 유수 신경보다 약 2배 정도 더 많다.
![](https://blog.kakaocdn.net/dn/bc6gm3/btrlEJrpsuM/Gt37V1ALkWSg63L64yu5w0/img.png)
|
myelinated neurons
|
unmyelinated neurons
|
sheath 유무
|
O
|
X
|
반지름[μm]
|
1-10
|
0.7
막 두께 5-10[nm]
|
특징
|
결절(랑비에 결절)은 매 1-2[mm] 간격으로 띄워져 있음
|
|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
활동전위는 일반적으로 시냅스 전 뉴런에서 온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xcitory postsynaptic potential, EPSP)에 의해 촉발된다.
- EPSP는 시냅스 후 뉴런에 활동전위를 일으킬 전압을 제공한다. ⇒ 그러나 단일 EPSP만으로 시냅스 후 뉴런에서 활동전위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IC2u/btrlLwREPaR/44b3Heo0IbKpYnkj6v5rD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HoRB/btrlEJyfIpb/plHRtlHy00RmXjw5qlgxq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xpUjE/btrlIc7ecJS/1ayBIOydjNPKRgcB0kIjw1/img.png)
뉴런의 전기적 신호전달은 세포막 내외부의 전해질에서 서로 다른 농도로 유지되는 소듐 이온과 포타슘 이온이 전위차에 따라 개폐되는 이온채널을 통해 내외부로 유입, 유출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는데, 국소적인 활동전위가 발생하고, 이 AP가 또 다른 활동전위를 유발하면서 신경계 전반을 거친다.
![](https://blog.kakaocdn.net/dn/cZxiVu/btrlFbH0Vmk/hgtaebCq1FWW2pmwg1bqtK/img.png)
1. 분극화(polarization) 단계
- 뉴런 내부가 외부로부터 신경자극이 없을 때, 뉴런은 휴지전위(resting potential) 상태를 유지한다.
- 휴지전위는 약 -65~-70mV의 값을 갖는다.
- 휴지전위에서 전압 개폐형 소듐 채널과 포타슘 채널은 닫겨 있다. 그러나 Na+/K+ 펌프는 생물학적 에너지인 ATP를 사용하여, K+은 세포 내로, Na+은 세포 외로 이동시킨다.
- 막 외부는 소듐 이온이 막 내부에는 포타슘 이온이 매우 높은 농도로 존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oHR2x/btrlLvLW3Xp/hGEWLQhx7phtywDlqKMyS0/img.png)
2. 탈분극화(depolarization) 단계
- 세포체의 내부전위가 높아져, 축색 언덕(axon hill)에서의 국소전위(local potential)들이 역치(threshold) 수준을 넘어서면,
- 전압개폐형 소듐 채널이 열리면서 소듐 이온이 세포막 내부로 들어온다. ⇒ 세포 내부로 소듐의 (+)전하가 들어오면서 내부 전위가 계속 높아진다.
- 급격한 소듐 이온의 유입으로 활동전위가 발생하고, 최대 탈분극 전위는 약 +40mV에 달한다.
![](https://blog.kakaocdn.net/dn/poigN/btrlFaoMXSE/Crp5rLmVwXalykramm0Mg0/img.png)
3. 재분극화(repolarization) 단계
- 신경세포는 탈분극된 전위를 resting potential로 회복시키기 위해 더 높은 전위에서 열리는 포타슘 이온채널을 활용한다. ⇒ 포타슘 이온채널은 칼륨 이온을 세포 외부로 확산시킨다.
- 계속된 확산은 세포 내의 포타슘 (+)전하의 유출을 의미하는데, 포타슘 이온채널은 소듐 이온채널보다 훨씬 개폐시간이 늦으므로, 세포 내의 전위는 약 -80[mV]까지 떨어진다. ⇒ resting potential보다 더 하강된 potential 값을 보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한하여 과분극(hyperpolarization) 단계라고도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rmPpa/btrlJMmT7Ag/BiDjKWNMo3VCToCqGkhOFK/img.png)
4. 휴지전위 회복
- 전압의존성 K+ 이온채널이 닫히는 것과 무관하게, 소듐/포타슘 펌프는 계속해서 resting potential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결국 K+ 이온은 세포 내로 유입, Na+ 이온은 세포 외로 유출되면서 초기 농도값을 회복한다.
![](https://blog.kakaocdn.net/dn/bj6chw/btrlGI6nXjM/ChsZkXKrm5dwLlaORJssaK/img.png)
'고급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차원 상의 운동 (0) | 2021.11.27 |
---|---|
지진파 Seismic Wave – 지진파의 이해 (0) | 2021.11.26 |
귀의 소리증폭 - 물리학적 접근 (0) | 2021.11.21 |
피부감각세포 (0) | 2021.11.21 |
벡터의 연산 (0) | 2021.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