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lculus/Concepts of Calculus

[미분] 6장. 도함수: 다항함수의 도함수

herald-lab 2019. 8. 25. 03:34
728x90
반응형

『De analysi(무한급수에 의한 해석학에 관하여)』는 뉴턴의 수학적 발견을 상당량 수록하고 있는데, 거듭제곱의 법칙도 그 중 하나이다.

 

자주 사용되는 함수-미분 공식 중 다항함수와 관련된 것들을 살펴보자.

 

1. 상수함수

 

모든 함수 중 상수함수는 가장 간단한 함수이다.

 

 

상수함수의 도함수

 

 

- d/dx는 미분연산자로 뒤에 나타난 함수를 미분한다는 뜻이다.

 

PROOF. 상수함수의 도함수

 

 

 

2. 거듭제곱함수

 

함수 f(x)=x^n의 n이 1이면, x^1=x이고, 그래프는 직선 f(x)=x로 그려진다. 이것의 기울기는 1이고, 따라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x^1/dx=1

 

x가 2, 3일 때, 대입하면 2x, 3x^2인 것을 알 수 있다.

 

식 6.1

 

식 6.1을 양의 거듭제곱 법칙이라 하고, 증명은 다음과 같다.

 

PROOF. 양의 거듭제곱 법칙

 

 

음의 정수를 지수로 갖는 거듭제곱의 도함수도 역시 거듭제곱의 법칙(power rule)이 성립한다. 따라서 power rule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거듭제곱의 법칙

 

새로운 도함수

새로운 함수가 이전의 함수들을 더하거나 빼거나 혹은 상수배하여 만들어진 것이라면, 그 도함수는 이전 함수의 도함수에 의해 계산된다.

 

1. 상수배 법칙(constant multiple rule)

2. 합 법칙(sum rule)

3. 차 법칙(difference rule)

 

상수배 법칙

 

 

합 법칙

 

 

차 법칙

 

 

- f와 g는 x에 대한 함수이며, c는 constant이다.

 

 

미분은 선형연산자(linear operator)로, 두 함수의 미분을 구할 때 각 함수의 미분값을 따로 구해 이들을 합침으로써 값을 구할 수 있다.

- (f+g)의 미분 값은 (f의 미분 값) + (g의 미분 값)과 같다.

- (cf)의 미분 값은 c(f의 미분 값)과 같다. 단, 여기서 c는 마찬가지로 상수를 의미한다.

 

PROOF. 상수배 법칙

 

 

PROOF. 합 법칙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