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95)
Herald-Lab

물리학은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이들 지식 중 가장 보편적이며, 체계적인 특성을 지닌다. - 물리학은 일반적인 '과학적 방법'을 수용하며, 과학적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1. 현상의 관찰 2. 개념의 정립 3. 가설의 설립 4. 검증 과학적 방법에서의 가설은 검증을 통해 '이론화' 된다. 이론화란, 과학적 방법을 거쳐 이론이 도출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 물리학에서 이론이란, 앞선 챕터에서 언급한 것처럼 자연현상을 지배하는 한정된 수의 기본법칙을 찾아 임의로 설정한 실험 결과들을 예측할 수 있는 체계를 말한다. ※ 과학적 방법의 목적 1. 인과관계의 규명: 과학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있어 인과관계적 요소를 반드시 포함한다. 원인이 없는 결과(현상)는 규명이 불가능하므로, 이 현상은 이론..

물리학이란, 자연과학의 한 분야로 물질을 중심으로 그것의 시공간(space and time)에서의 운동, 그리고 그것과 연관된 에너지(energy)와 힘(force)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 물리학은 여러 과학 분야 중 가장 근간이 되는 과목으로, 이것의 목표(main goal)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을 이해하는 데 있다. Physics is an experimental science. Physicists observe the phenomena of nature and try to find patterns that relate these phenomena. Young & Freedman 2014, p. 2 물리과학이란, 자연에서 발견되는 순서나 사건들 속에서의 규칙 반복성을 논하는 지적 체계이다. P..

신경망(neural network): 신경회로,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인간의 뇌 구조를 착안·고안한, 기계학습을 위한 인공지능의 시스템 - 연결주의(connectionism): 인간의 중추 신경계 처리과정을 추상화(abstraction)하여 의사 뉴런을 구축하고 그것을 계층화하여 지능체를 구축할 수 있다고 주장 - 장점: 안정적인 학습기능, 병렬처리, 에러 감내(fault tolerance) 등 - 신경망의 기술은 현재 음성, 영상, 자연어 처리 등에 활용 - 신경망의 마일스톤 ① 단층신경망(perceptron) ② 다층신경망(MLP: Multi-Layer Perceptrons): 또는 FNN(Feed-Forward Neural network) ③ 심층신경..

통계학(statistics):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확실성(uncertainty) 속에서도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수학의 한 분야 경험과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계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논리와 방법을 제공한다. statistics는 자료를 수집, 분류, 분석, 표현하여 어떤 현상에서의 인과관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나아가 미래 상황까지 예측하게 해준다. 통계학은 크게, ① 기술통계학(descriptive statistics; 관찰한 자료를 수집·정리·요약하여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자 함)과 ② 추리통계학(inferential statistics; 모집단에서 추출된 표본 자료를 분석하여 확률이론을 근거로 모집단의 특성을 추리하는 데 중점)로 나뉜다. ③ 분석통계학: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가진 자연지능(natural intelligence)과 달리 지능적인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 - 또는 이러한 지적 기능을 만들 수 있는 방법론이나 실현 가능성을 연구하는 과학 분야를 지칭하기도 한다. 인공지능의 태동 잉글랜드 런던 출신의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Alan M. Turing, 1912-1954)은 1950년대에 자신의 논문 에서 수학 및 컴퓨터 과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생각하는 기계'의 가능성을 최초로 고안하였다. - 튜링 테스트(Turing test): 인공지능의 기준선을 정하는 대신, 일단 인간이 인지하기에 '인간스러운 반응'을 할 수 있는 것을 '인간에 준하는 지능'을 가진 것으로 간주하도록 한다..

힘은 항상 두 물체 사이를 주고 받는 형태를 띤다. 따라서 어떤 힘이 '작용 힘(action)'이라면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다른 힘을 '반작용 힘(reaction)'이라 한다. Action and Reaction 작용-반작용 법칙: 물체 A가 물체 B에 힘 f_AB(또는 on B by A)을 작용하면, 물체 B도 물체 A에 크기는 같으나 방향은 반대인 힘 f_BA(또는 on A by B)를 반작용한다. - 힘은 항상 쌍으로 존재한다. - 동시에 작용하는 두 힘의 크기는 같으나 방향은 180도 정반대이다. - action force와 reaction force는 각각 다른 물체에 작용점을 두고 있어 resultant 값을 갖진 않는다. 작용-반작용 법칙의 예 1. 로켓이 가스를 분사하면 동..

가속도 법칙: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의 방향으로 가속도가 생긴다. 알짜힘(net forces): 한 물체에 여러 힘이 동시에 작용할 때, 모든 힘의 합력을 알짜힘이라 한다. - 어떤 물체에 한 개의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이 곧 net force이다. - 어떤 물체에 여러 개의 힘이 작용하면 그 힘들의 '벡터합'이 net force이다. 그림 1. Different forces exerted on the same mass produce different accelerations. 그림 2. A sled experiences a rocket thrust that accelerates it to the right. Each rocket creates an identical thrust T. ..

힘의 특성 힘(force): (1)물체의 모양을 변형시키거나 (2)물체의 운동상태를 변화시키는 물리량 - 운동하는 물체의 운동 방향 또는 크기(빠르기)를 변화시키는 동인이다. - 두 힘을 합쳐 하나의 힘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다시 하나의 힘을 두 개의 힘으로 분해할 수도 있다. - vector의 특성을 갖는 힘은 vector arrow로 표현이 가능하고, 평행이동도 가능하므로 방향과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직교 좌표상에 이동시켜 계산할 수도 있다. 그림 1. Forces are vectors and add like other vectors, so the total force on the person(in the middle of the picture) is in the direction shown...

고체 표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 이외에도 액체나 기체 상 공간에서 발생하는 저항력(resistive force) 역시 물체의 움직임을 분석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유체 내부에서 움직이는 물체와 매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resistive force라 정의한다. 저항력의 종류 1. 공기 저항(air resistance): '기체' 내 물체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힘 2. 점성(viscosity): '액체' 내 물체의 움직임에 저항하는 힘 저항력의 특징 frictional force와 마찬가지로, 저항력의 크기 역시 움직이는 물체의 속력에 따라 그 값이 복잡하게 변한다. 1. 속력비례 저항력: 유체 속에서 천천히 낙하하는 물체 또는 공기 입자 중 먼지와 같이 미세한 입자들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력 2..

질량시스템에서 수직항력 쌓아놓은 물체에 대한 normal force의 계산의 가장 간단한 요령은 먼저 물체들에 작용하는 중력을 모두 표기한 뒤, 맨 꼭대기에서부터 물체에 대한 수직항력의 크기를 구하는 것이다. [그림 1]과 같이 쌓인 mass system이 테이블 위에 멈춰있다고 하자. 그림 1 [1] 수직항력 n_1: 쌓여진 물체계의 질량 m에 걸린 중력에 반하는 수직항력 [2] 수직항력 n_2: 쌓여진 물체계의 전체 질량 m+M에 걸린 중력에 반하는 수직항력 여러가지 물체의 마찰력 1. 상대속도가 0인 가로배열 그림 2 [1] 각각의 접촉물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크기는 질량에 비례한다. [2] 접촉면의 수직항력: 질량 m인 물체가 M인 물체를 미는 만큼(작용), 같은 크기의 반대방향으로 반작용..